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44

비 내리는 날 오늘도 비소식이 있습니다. 장마라고 하니 그러려니 합니다만, 이때쯤 되면 비내리는 날이 물리기도 합니다. 일기예보를 살펴보니 다음주 내내 구름 아래로 빗줄기가 그려져 있습니다. 한반도 주변으로 저기압이 형성되어 비구름이 만들어지고 국지성 비가 종종 내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합니다. 걱정되는 것은 국지성 호우입니다. 짧은 시간동안 특정 지역에 퍼붓는 비는 꼭 사달을 만듭니다. 간혹 운전을 하다가 어느 구간에서 갑자기 쏟아지는 비를 만난 적이 있을 것입니다. 무사히 그곳을 통과하게 될 때 가슴을 쓸어내린 경험도 있구요. 작년으로 기억나는데, 물이 불어난 인도를 걷다가, 당연히 바닥의 보도블록이 보이지 않는 상태였겠지요, 맨홀에 퐁당 빠진 적이 있었습니다. 맨홀의 깊이는 일반성인의 허리 높이까지였고(아니 발이 .. 2023. 7. 13.
브라이언 헤어 - 다정한 것이 살아 남는다 브라이언 헤어, , 2021, 디플롯 인류의 종들중에서 최종적으로 호모 사피엔스가 살아남게 된 이유는 협력의 문화, 협력적 의사소통 덕분이라고 브라이언 헤어는 말한다. 호모 사피엔스와 동시대를 겪은 네안데르탈인의 몰락은 그들의 공격성과 사회성 부족으로 빙하기 시기를 버텨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두뇌가 작고 근육이 발달하지 않은 호모 사피엔스가 최후의 승자가 되었던 것은, 자기가축화1)를 통한 친화력 진화의 힘이 컸기 때문이다. 1) 자기가축화(self-domestication) : 야생종이 사람에게 길들여지는 과정에서 외모나 행동에 변화가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간에게도 사회화 과정에서 공격성 같은 동물적 본성이 억제되고 친화력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흔히 집에서 키우는 반려.. 2023. 7. 11.
Gently Blue - Climb Gently Blue - Climb 조용히 음악을 듣는 시간. 2023. 7. 11.
무라카미 하루키 -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제4장 무라카미 하루키 -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제4장 나는 소설 쓰는 방법의 많은 것을 매일 아침 길 위를 달리면서 배워왔다 작가는 소설 쓰기의 많은 것을 매일 아침 길 위를 달리면서 배워왔다고 말한다. 다음의 소설가로서 필요한 자질에 대해 언급한 내용도 달리면서 떠오른 생각일지도 모른다. 1. 문학적 재능이 있어야한다. 전제조건이다. 2. 집중력이다. 자신이 지닌 한정된 양의 재능을 필요한 곳에 집약해서 쏟아 붓는 능력, 그것이 없으면 중요한 일은 아무것도 달성할 수 없다. 그리고 이 힘을 유효하게 쓰면 재능의 부족이나 쏠림 현상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다. 3. 지속력이다. 작가에게는 필요한 근력이 있다. 글쓰는 작업은 근본적으로 두뇌의 육체 노동이다. 에너지를 장기간 소모할 수 있.. 2023. 7. 7.
쇼유라멘 한그릇 라면 한그릇에 계란 한알 깨뜨려 넣으면 한끼의 식사 대용으로 적당하다. 때로는 식사와 식사 사이의 간식으로 먹어도 지나치지 않는 양이다. 한사람이 라면 두개를 삶아먹는 게 아니라면. 이렇듯 라면은 많은 사람들로 부터 애정을 듬뿍 받아온 소위 완전한 식품이다. 물론 완전식품에 대한 정의는 영양학적으로 사람들마다 의견이 분분하겠지만, 라면 냄새를 맡고 라면이 땡겨 라면을 단숨에 먹어본 사람이라면 라면이 MSG 덩어리라고 폄훼하는 언론의 공세에도 불구하고, 라면은 사랑받을만한 자격이 된다는 사실에 다들 공감할 것이다. 쇼유라면은 일본식 간장 라면이다. 국물베이스를 간장으로 간을 맞춘, 물론 육수는 닭육수로 우러낸 것이 일반적이다. 꼬들꼬들한 면 위에 살포시 올라온 챠슈는 보통 돼지 목살을 사용한다. 그래서 돼.. 2023. 7. 4.
1. 유시민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39쪽까지 읽고 유시민 -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 돌베게, 2023 39쪽까지 읽고 '나는 누구인가' 는 인문학적 질문 형식이다. '나는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이 질문은 다소 과학적인 질문의 프레임으로 바뀐다. '무엇'의 대상은 물질을 가리킬 수 있기 때문이다. 물질은 과학의 기본 개념이다. 물질이 아닌 것은 과학에서는 얘기하지 않는다. 추상적인 개념은 철학에서 다루는 영역이다. 대명사와 조사가 결합된 '나는'를 좀더 포괄적인 명사인 '인간'으로 대치해보자. '인간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의 제2장 '나는 무엇인가(뇌과학)'편에 이어진다. 2023. 7. 2.
320x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