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그림, 음악 에세이/책이 있는 에세이

10. 무라카미 하루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제9장

by soodiem 2023. 9. 11.
무라카미 하루키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제9장 


아쉬어도 9장을 끝으로 이 책을 마무리 지어야할 때가 되었다. 

9장에서는 2007년 트라이애슬론 경기에 드디어 참가하게 되는 내용이다.

다른 챕터에서도 그랬지만, 대회에 나서기전에 작가는 생각이 많아지고, 따라서 쓸 말도 많다. 

지난 추억을 떠올리기도 하고, 별 근심과 걱정을 끄집어내기도 한다. 

아마도 대회를 앞두고 긴장을 많이 하고 있다. 

 234쪽과 235쪽 두 쪽에 걸쳐서 자신감이 얼마나 바닥을 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나라고 하는 그릇이 얼마나 가련하고 부족한 존재인지를 생각하게 된다. 나 자신이라는 그릇이 마치 애처롭고 별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중략)  이런 일(트라이애슬론)을 해서 뭐가 어떻게 된다는 것인가? 바닥에 작은 구멍이 난 낡은 냄비에 부지런히 물을 붓는 것과 같은 일에 지나지 않는게 아닐까?, 라고 말한다. 

 

 2006년 트라이애슬론 경기에 참여하기까지 숱한 해프닝이 있었다. 

2000년, 호흡곤란으로 수영을 하지 못해 포기한 적이 있었다. 비교적 편하게 장거리를 자유형으로 헤엄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었다. 그런데 막상 바다에 들어가서 수영을 하려고 하자 호흡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자 공포가 전신을 지배하고 근육이 굳어버렸다. 패닉상태에 빠졌다. (238쪽)

 그 이후로 수영자세를 교정 받기 위해 애를 썼다.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언젠가 확실하게 복수를 해야겠다고 줄곧 생각해왔다. 나는 이런 일에 관해서는 비교적 집요한 성격이다. 뭔가 안 된 일이 있으면, 그것이 잘 될 때까지 납득도 할 수 없고, 마음도 안정되지 않는다.' (241쪽)

 그러나 복수의 칼을 갈고 수영을 완전정복하려는 욕심이 앞섰으나, 마땅한 코치 선생을 만나지 못했다.

그러는 중, 아내가 소개한 젊은 여성 수영 코치를 만나게 되었고, 코치 특유의 불충분한 설명과 무한 반복되는 동작 훈련 강행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작가는 나름 참을성 있게 훈련에 임했다. 

작가는 단조롭고 집요한 강습으로 수영법 교정을 1년 반동안 소화해낸다.

이전보다는 비교적 군더더기 없는 자세로 장거리를 헤엄칠 수 있게 자신감을 얻는다. 

무엇보다 과호흡 상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실전의 마인드를 연마하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 

 이 때 작가는 이런 말을 한다. '가령 몇 살이 되어도 살아 있는 한, 나라고 하는 인간에 대해서 새로운 발견은 있는 것이다.' 

 비로소 작가는 호흡을 적절히 조절하게 되면서 잃었던 자신감을 회복하게 된다. 

 

 2006년 10월 1일. 드디어 트라이애슬론 경기가 열리는 날이다. 

하늘은 맑고 바람도 없으며 온도도 적당하다. 경기를 하기에 아주 좋은 날씨다. 

 완벽한 날씨라 하지만, 작가는 경기를 하면서 몇 가지 실수를 한다. 

손에 묻은 바셀린을 제거하지 않아서 고글에 바셀린이 묻어 오염된다. 

앞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해 코스를 벗아나기 일쑤였다.

 두번째 사이클 코스에서는 막판에 자신감이 생겨 우쭐해진 나머지 오버페이스를 하게 된다.

그 영향으로 마라톤 전환시 다리가 맘대로 움직이지 않는 어려움을 겪는다. 

그리고 마라톤 경기에서는 슈즈의 끈이 풀어져서 두 번 정도 달리다가 멈추어 신발 끈을 다시 묶지 않으면 안 되었다. 

 하여튼 우여곡절 실수는 있었지만 작가는 무사히 완주한다.

무엇보다 기뻤던 것은 오늘의 레이스를 내가 진심으로 즐겼다는 사실이다.(255쪽)

고통스럽기 때문에 그 고통을 통과해가는 것을 기꺼이 감수하는 것에서 자신이 살고 있다는 확실한 실감을, 적어도 그 한쪽 끝을, 우리는 그 과정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산다는 것의 성질은 성적이나 숫자나 순위라고 하는 고정적인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행위 그 자체 속에 유동적으로 내포되어 있다는 인식에 다다를 수도 있다.(256쪽)

 완주를 통해서 획득되는 어떤 통찰력은 다음의 문장으로 이어진다. 

결국 우리에게 있어서 가장 소중한 것은 대부분의 경우, 눈에는 보이지 않는(그러나 마음으로는 느낄 수 있는) 어떤 것임이 분명하다. 그리고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것은 때때로 효율이 나쁜 행위를 통해서만이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공허한 행위가 있었다고 해도, 그것은 결코 어리석은 행위는 아닐 것이다. 나는 그렇게 생각한다. 

끝.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