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살맛나네8.0

이번에 마실 막걸리는 살맛나네8.0이다.
술명 뒤에 8.0을 붙인 이유는 알코올 도수가 8도이기 때문이지 않을까하는 추측을 할 수 있다.
살맛나네 막걸리는 포천에 소재한 약사골전통주농업회사에서 생산한다.
포천에서 나는 쌀을 사용했고, 역시 포천에 있는 약사골의 맑은 물로 술을 담았다.
그리고 세번 담근 삼양주라고 적혀있다.
삼양주 제조방식은 밑술에 덧술을 두번 더해서 발효시킨 양조법이다.
두번을 더해 쌀과 누룩을 섞어 발효시켰으니, 발효기간은 더 길어지고 풍미는 더 깊어지게 마련이다.
흔한 표현으로 바디감이 생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에탄올 도수가 보통 6도 보다 높은 8도로 상승되어 있다. 발효가 더 많이 되었으니 에탄올 성분도 덩달아 높아지는 방식이다.

라벨지를 보면 쌀이 무려 30.33%를 차지하고 있다.
쌀이 많이 함유한 막걸리라는 것을 성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당연 삼양주 제조 방식이다보니 쌀이 많이 들어간다.
여타 막걸리보다 많이 묵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잔에 따라보면 요거트만큼은 아니지만 그 느낌이 다소 비슷하다는 걸 느낄 수 있다.
부드러운 질감이 육안으로 확인된다.
입국과 효모는 항상 따라붙는 사이 이기에 역시 성분표에 함께 들어있다.
여기에 효소제, 곡자를 첨가하여 발효의 강도를 높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다른 인공감미료가 첨가되지 않아서 가격은 750ml에 5,600원 수준으로 프리미엄급이다.

사진상으로는 진한 곡주의 느낌이 표현되는데 한계가 있다.
우유보다 진한 질감이 입안과 목구녕을 타고 부드럽게 넘어간다.
이 막걸리의 가장 개성있는 부분이다.
입안에서는 강하지 않은 단맛의 향과 시큼한 향이 공존한다.
신맛이 비교적 단맛보다 더 빨리 느껴지는 것은 개인적 차이일 수 있겠다.

당도와 산도가 균형잡힌 술이다.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같다 싶으면 다른 한쪽의 맛과 향이 금세 잡아당겨 균형을 맞춘다.
이런 술을 만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아마도 삼양주의 제조방식으로 얻어낸 진한 곡주의 질감이 큰 역할을 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한다.
'여행, 문화 에세이 > 문화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막걸리] 콩당콩당 생막걸리 (0) | 2025.03.31 |
---|---|
[막걸리] 문경 오미자생막걸리 (0) | 2025.03.27 |
[막걸리] 백련 생막걸리 (0) | 2025.03.21 |
[막걸리] 선호 생막걸리 (0) | 2025.03.14 |
[막걸리] 누룩꽃향기 생막걸리 (0) | 2025.03.13 |
댓글